‘바둑’ 전국소년체육대회 첫 정식종목 개최
전국소년체육대회 정식종목으로 처음 참가한 바둑 종목이 5월 30일, 31일 이틀간 제주도 서귀포생활체육문화센터에서 성황리에 치러졌다.
전국 16개 시도에서 192명의 선수들이 참가해 기량을 겨룬 이번 대회에는 선수 및 대회 관계자 외에도 수십명의 학부모들이 동행해 첫 정식종목으로 입성한 바둑에 대한 뜨거운 열기를 보여줬다.
전국소년체육대회의 경기종목 수는 초등부가 육상․수영․축구 등 19종목, 중등부가 초등부 종목에 복싱․레슬링․사격 등 16종목이 추가된 35종목이다. 초등부와 중등부에 모두 참가하는 바둑 종목은 각 팀 3명씩 남․여 단체전 4개부로 나뉘어 각 부별 16강 토너먼트로 진행해 사상 첫 금․은․동메달팀을 가렸다.
30일 오후 1시 진행된 개막식에서 홍석현 대한바둑협회장의 대회사를 대독한 박치문(한국기원 부총재) 경기위원장은 "이번 소년체전의 바둑 정식종목 입성은 마인드스포츠와 육체스포츠가 동등하게 인정받게 된 역사적 의의를 가진다"며 "선수들 모두가 그 역사적 현장에 서 있다는 자부심을 가지기 바란다"고 말했다.
고만수 제주도 바둑협회장은 “좋은 기보와 멋진 승부로 제주에서의 멋진 추억을 남기기 바라며, 이번 소년체전을 계기로 제주의 아름다움을 알려 다시 찾고 싶은 제주로 만들겠다” 고 환영사를 전했다.
페어플레이를 다짐하는 남녀선수 대표의 선서문 낭독과 김수장 심판위원장의 대국 규정 설명에 이어 본 경기로 돌입한 대회는, 이틀 동안 열전을 벌인 결과 서울이 남자 초등부와 여자중학부, 여자 초등부 금메달 등 3관왕으로 강팀의 면모를 과시했고 남자중학부에서 전북이 우승하며 다크호스로 부상했다.
또한 우승팀 선수 중 개인성적 최고를 기록한 선수들에게 각 부문별로 최우수선수상이 수여됐다. 최우수선수상은 남자중학부 윤예성(백산중1)․남자초등부 이의현(응암초6)․여자중학부 유주현(행당중3)․여자초등부 이우주(대림초5)가 선정됐다.
전국소년체전의 바둑 정식종목 편입은 지난 1월 27일 열린 대한체육회 제12차 이사회에서 결정된 바 있다.
2003년 인정단체 처음으로 제84회 전국체육대회 전시종목(부안)으로 참가한 바둑은 지난해 10월 제주에서 열린 제95회 때는 시범 종목으로 참가했다.
오는 10월 강원도에서 개최되는 제96회 전국체육대회는 작년처럼 시범종목으로 개최되지만 2016년 충청남도에서 열리는 제97회 전국체육대회부터는 금년 전국소년체육대회와 마찬가지로 정식종목으로 벌어질 예정이다.
■제44회 전국소년체육대회 바둑종목 부별 순위
남자초등부
금메달 - 서울: 선승민(응암초6), 이의현(응암초6), 진훈(연은초5)
은메달 - 경기: 김윤태(송일초5), 김현빈(흥진초5), 이연(광명북초6)
동메달 - 충남: 김도경(풍기초6), 박경모(부춘초5), 유영빈(예천초6)
동메달 - 광주: 김종인(신창초6), 대경민(계수초6), 소재욱(신창초6)
남자중학부
금메달 - 전북: 김지우(백산중3), 윤예성(백산중1), 한준수(백산중3)
은메달 - 경북: 윤동재(대흥중), 이우람(유강중1), 차부일(항도중1)
동메달 - 경기: 강성민(천천중1), 김기원(부곡중2), 김만중(호성중2)
동메달 - 경남: 안신규(세종중3), 이승도(한산중1), 임채홍(제일중3)
여자초등부
금메달 - 서울: 강가형(내발산초6), 이우주(대림초5), 임채린(연가초5)
은메달 - 광주: 고윤서(정암초5), 김서진(고실초6), 정주리(미산초5)
동메달 - 경기: 김난수(산본초6), 김도연(옥천초6), 김수민(기안초6)
동메달 - 강원: 김주은(봉대초6), 박근아(진주초6), 이유진(명륜초5)
여자중학부
금메달 - 서울: 고미소(충암중1), 유주현(행당중3), 한지원(충암중3)
은메달 - 대전: 송지호(법동중3), 신가현(동대전중3), 조수연(매봉중1)
동메달 - 광주: 강지원(양산중1), 김지현(진흥중1), 이도현(일곡중2)
동메달 - 전북: 권가양(백산중3), 이다영(온빛중1), 조영서(평화중2)
▲각 부문별 최우수선수상 수상자.
(왼쪽부터 윤예성(남자중학), 이의현(남자초등), 이우주(여자초등), 유주현(여자중등)
▲시상식 후 전체 기념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