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출발' BGF, 개막전서 ' 호(好) 호(好) 호(好) '
2018 KB국민은행 바둑리그 1라운드 1경기
'새단장' BGF, 주장 박영훈 빠지고도 개막전 승리
올 시즌 감독부터 선수까지 모든 것을 바꾸고 나선 BGF가 첫걸음을 순조롭게 뗐다. 성하(盛夏)의 시작을 알리는 무대, 2018 KB국민은행 바둑리그가 14일 개막전을 시작으로 6개월간의 장도에 올랐다.
개막전 대진은 전기 4위팀 SK엔크린과 창단 후 세 번째 시즌을 맞아 모든 면모를 일신한 BGF. 한 해의 농사를 가늠하는 시금석 같은 일전에서 BGF가 1.3.5의 징검다리 승리로 SK엔크린을 3-2로 꺾었다.
.JPG)
개막전부터 매년 반복되는 중국 을조리그의 파고를 피할 수 없었다(올해의 을조리그는 6월 10일~20일까지 중국 짱쑤성에서 열린다). 이 여파로 BGF에서는 주장 박영훈과 4지명 설현준이, SK엔크린에선 3지명 홍성지가 오더에서 제외됐다.
두 명과 한 명. 숫적으로도 그렇고, 더해서 주장이 빠진 BGF의 열세가 예견됐다. 하지만 막상 뚜껑을 여니 달랐다. BGF가 먼저 달렸고, SK엔크린이 진땀을 흘리며 쫒아가는 양상이 펼쳐졌다.
.JPG)
가장 먼저 끝난 2국(속기)에서 3지명 김승재가 SK엔크린의 퓨처스 선수 김기용을 불계로 제압했다. 새단장을 한 김영삼호의 산뜻한 출발을 알리는 신호탄이자 올 시즌 걸려 있는 280국의 첫승이었다.
이어진 5지명 이창석의 선전도 눈부셨다. 비록 패하긴 했지만 올 시즌 SK엔크린의 1지명으로 올라선 이영구의 간담을 서늘하게 만드는 파이팅을 펼쳐보였다. 시종 엎치락뒤치락하는 흐름을 따라 AI의 승부예측도 요동을 쳤다.
.JPG)
승리의 견인차는 올 시즌 BGF 2지명으로 자리를 옮긴 조한승이었다. 최대 관심판이자 승부판으로 지목된 장고대국(1국)에서 이동훈에게 흔들림 없는 완승을 거두며 2-1 리드를 이끌어냈다.
이어진 후반 속기전에서 BGF는 진시영이 다 이긴 바둑을 놓치는 바람에 땅을 치기도 했지만, 마지막 5국에서 안조영이 류민형을 상대로 재차 역전에 성공하며 3-2 승리를 안았다. "몹시 피곤하네요..." 지난해 우승팀을 버리고(?) 올 시즌 험난한 파도에 몸을 실은 김영삼 감독이 그제서야 한마디를 하며 어깨를 폈다.
.JPG)
■ 또 업그레이드 된 리그! AI의 형세판단 도입
2016년 디지털 계시기의 도입과 국가대표의 실시간 판정, 2017년엔 '오늘의 관전 포인트'를 제시하는 등 매번 새로운 화면을 보여준 바둑TV는 올시즌에는 인공지능(AI) '돌바람'을 통한 실시간 승부예측을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JPG)
.JPG)
.jpg)
15일엔 Kixx와 한국물가정보가 1라운드 2경기를 벌인다. Kixx는 2지명 윤준상이, 한국물가정보 역시 2지명 강동윤이 중국 을조리그 참가로 오더에서 제외됐다.
기전 총규모 34억원의 2018 KB국민은행 바둑리그의 팀 상금은 1위 2억원, 2위 1억원, 3위 6,000만원, 4위 3,000만원. 상금과는 별도로 매 대국 승자는 360만원(장고 400만원), 패자는 70만원(장고 80만원)을 받는다.
(1).JPG)
.JPG)
.JPG)
'새단장' BGF, 주장 박영훈 빠지고도 개막전 승리
올 시즌 감독부터 선수까지 모든 것을 바꾸고 나선 BGF가 첫걸음을 순조롭게 뗐다. 성하(盛夏)의 시작을 알리는 무대, 2018 KB국민은행 바둑리그가 14일 개막전을 시작으로 6개월간의 장도에 올랐다.
개막전 대진은 전기 4위팀 SK엔크린과 창단 후 세 번째 시즌을 맞아 모든 면모를 일신한 BGF. 한 해의 농사를 가늠하는 시금석 같은 일전에서 BGF가 1.3.5의 징검다리 승리로 SK엔크린을 3-2로 꺾었다.
▲ BGF와 SK엔크린의 대결로 열여섯 번째 시즌의 막을 올린 2018 KB리그는 8개팀이 총 14라운드 56경기 280국에 이르는 정규시즌을 마친 후 상위 네 팀이 겨루는 포스트시즌으로 챔피언을 가린다.
개막전부터 매년 반복되는 중국 을조리그의 파고를 피할 수 없었다(올해의 을조리그는 6월 10일~20일까지 중국 짱쑤성에서 열린다). 이 여파로 BGF에서는 주장 박영훈과 4지명 설현준이, SK엔크린에선 3지명 홍성지가 오더에서 제외됐다.
두 명과 한 명. 숫적으로도 그렇고, 더해서 주장이 빠진 BGF의 열세가 예견됐다. 하지만 막상 뚜껑을 여니 달랐다. BGF가 먼저 달렸고, SK엔크린이 진땀을 흘리며 쫒아가는 양상이 펼쳐졌다.
▲ 지난 시즌 출발이 좋지 않았던 김승재(오른쪽)가 올 시즌 의미 있는 첫승의 주역이 됐다.
가장 먼저 끝난 2국(속기)에서 3지명 김승재가 SK엔크린의 퓨처스 선수 김기용을 불계로 제압했다. 새단장을 한 김영삼호의 산뜻한 출발을 알리는 신호탄이자 올 시즌 걸려 있는 280국의 첫승이었다.
이어진 5지명 이창석의 선전도 눈부셨다. 비록 패하긴 했지만 올 시즌 SK엔크린의 1지명으로 올라선 이영구의 간담을 서늘하게 만드는 파이팅을 펼쳐보였다. 시종 엎치락뒤치락하는 흐름을 따라 AI의 승부예측도 요동을 쳤다.
▲ "지난해 9승(5패)을 한 만큼 올해는 10승이 목표다"(이창석). "상대 5지명이 10승을 말하니 목표를 11승으로 수정해야겠다"(이영구).
개막식에서 팽팽한 기싸움을 벌였던 두 사람. 300수까지 가는 공방 끝에 이영구가 흑으로 1집반을 남겼다.
개막식에서 팽팽한 기싸움을 벌였던 두 사람. 300수까지 가는 공방 끝에 이영구가 흑으로 1집반을 남겼다.
승리의 견인차는 올 시즌 BGF 2지명으로 자리를 옮긴 조한승이었다. 최대 관심판이자 승부판으로 지목된 장고대국(1국)에서 이동훈에게 흔들림 없는 완승을 거두며 2-1 리드를 이끌어냈다.
이어진 후반 속기전에서 BGF는 진시영이 다 이긴 바둑을 놓치는 바람에 땅을 치기도 했지만, 마지막 5국에서 안조영이 류민형을 상대로 재차 역전에 성공하며 3-2 승리를 안았다. "몹시 피곤하네요..." 지난해 우승팀을 버리고(?) 올 시즌 험난한 파도에 몸을 실은 김영삼 감독이 그제서야 한마디를 하며 어깨를 폈다.
▲ 뚜벅뚜벅 쫒아가다가 끝내기에서 류민형의 실수를 낚아챈 안조영(오른쪽). 송태곤 해설자는 BGF 승리의 원인으로 조한승과 안조영, 두 노장이 주장의 공백을 훌륭히 메워준 점을 꼽으며 "BGF가 보기 보다 강팀인 것 같다"고 말했다.
■ 또 업그레이드 된 리그! AI의 형세판단 도입
2016년 디지털 계시기의 도입과 국가대표의 실시간 판정, 2017년엔 '오늘의 관전 포인트'를 제시하는 등 매번 새로운 화면을 보여준 바둑TV는 올시즌에는 인공지능(AI) '돌바람'을 통한 실시간 승부예측을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 돌바람이 실시간 그려보이는 참고도. 송태곤 해설자는 "아직은 100% 신뢰할 수 없지만 유불리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는 유용한 도구인 것 같다"고 말했다.
▲ 돌바람의 승부예측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개발자 임재범씨. 돌바람은 난타전에선 들쑥날쑥한 형세판단을 보였지만 통상의 계가 바둑에선 꽤 신뢰할 만한 지표를 보였다.
.jpg)
15일엔 Kixx와 한국물가정보가 1라운드 2경기를 벌인다. Kixx는 2지명 윤준상이, 한국물가정보 역시 2지명 강동윤이 중국 을조리그 참가로 오더에서 제외됐다.
기전 총규모 34억원의 2018 KB국민은행 바둑리그의 팀 상금은 1위 2억원, 2위 1억원, 3위 6,000만원, 4위 3,000만원. 상금과는 별도로 매 대국 승자는 360만원(장고 400만원), 패자는 70만원(장고 80만원)을 받는다.
▲ 제4국. 후반에 대바꿔치기가 이뤄졌지만 형세는 여전히 진시영(왼쪽)의 큰 우세. 하지만 막판 진시영의 진영에서 흑대마가 패로 살아가는 수단이 발생하면서 해프닝 같은 대역전이 벌어졌다(237수 박민규 흑 불계승).
▲ 창단 3년째를 맞은 올 시즌 돌풍이 예상되는 BGF.
▲ 올해 이영구를 주장으로 올리고 이동훈을 2지명으로 영입한 SK엔크린. 올초 군에 입대한 안성준(사진 왼쪽 앞)이 딻은 머리를 하고 친정팀을 찾았다. 현재 박승화와 더불어 동해의 해군 함대에서 근무하고 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