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성진 '서른 여섯의 기적' 이뤘다
2020-2021 KB국민은행 바둑리그 최종 14라운드(통합)
셀트리온, 한국물가정보 꺾고 정규시즌 1위
원성진 9단은 '전승 신화'를 썼고 소속팀 셀트리온은 정규시즌 1위에 올랐다. 27일 정오부터 한국기원서 열린 2020-2021 KB국민은행 바둑리그 통합 14라운드에서 셀트리온이 한국물가정보를 꺾었다.
13라운드까지 9승4패로 팽팽히 맞선 두 팀은 정규리그 우승과 챔피언결정전 직행 티켓을 놓고 최종 라운드에서 한판 승부를 벌였다. 지난 시즌 챔피언결정전을 벌이기도 했던 두 팀의 대결에서 셀트리온은 신진서 9단, 금지우 2단, 원성진 9단이 차례로 이기면서 신민준 9단과 안정기 6단이 이기는 데 그친 한국물가정보를 3-2로 눌렀다.

'전승 신화'에 도전한 서른 여섯의 노장 원성진 9단이 화룡점정했다. 난적 강동윤 9단을 백 불계로 꺾고 정규시즌 14전 전승과 함께 셀트리온의 1위도 결정지었다.
"실감이 안 나고 기분이 묘한 것 같다"는 원성진 9단은 "플레이오프에 못 올라간 지 10년 정도 됐다. 운이 따르지 않은 적도 많았고, 작년에는 최악의 한 해를 보내서 마음이 복잡했는데 올해 전승을 하니 감회가 남다르다. 팀도 이겼다니까 큰 보탬이 된 것 같아 기쁨이 두 배"라는 소감을 전했다.

바둑리그가 더블리그 체재로 재편된 2006년 이후 정규리그 전승은 이번이 두 번째. 지난 시즌에 신진서 9단이 최초로 16전 전승을 거둔 바 있다.
결정되지 않은 두 장의 포스트시즌행 티켓을 놓고 7승6패의 세 팀이 벌인 벼랑 승부에서는 포스코케미칼이 바둑메카의정부를 4-1로 꺾고 3위가 됐다. 수려한합천은 탈락이 확정된 정관장천녹을 4-1로 눌렀다. 최종 순위는 셀트리온, 한국물가정보, 포스코케미칼, 수려한합천, 바둑메카의정부, 정관장천녹, 컴투스타이젬, 킥스 순.
.jpg)
4위까지 오르는 포스트시즌은 3월 17일부터 준플레이오프(2번기)→플레이오프(3번기)→챔피언결정전(3번기) 단계로 2004년 출범 이래 17번째 시즌의 우승팀을 가린다. 3위 포스코케미칼과 4위 수려한합천이 벌이는 준플레이오프는 3위팀은 어드밴티지를 받아 한 경기 승리 또는 무승부시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수 있다.
한편 개인 부문에선 원성진 9단 뒤로 12승2패의 신진서 9단, 11승3패의 변상일 9단 순으로 다승 상위권을 형성했다. 2020~2021 KB리그의 팀 상금은 우승 2억원, 준우승 1억원, 3위 6000만원, 4위 3000만원. 매판 승부에 따라 차등지급했던 대국료는 포스트시즌에는 없다.
.jpg)
.jpg)




.jpg)
.jpg)

.jpg)


.jpg)
.jpg)
.jpg)
셀트리온, 한국물가정보 꺾고 정규시즌 1위
원성진 9단은 '전승 신화'를 썼고 소속팀 셀트리온은 정규시즌 1위에 올랐다. 27일 정오부터 한국기원서 열린 2020-2021 KB국민은행 바둑리그 통합 14라운드에서 셀트리온이 한국물가정보를 꺾었다.
13라운드까지 9승4패로 팽팽히 맞선 두 팀은 정규리그 우승과 챔피언결정전 직행 티켓을 놓고 최종 라운드에서 한판 승부를 벌였다. 지난 시즌 챔피언결정전을 벌이기도 했던 두 팀의 대결에서 셀트리온은 신진서 9단, 금지우 2단, 원성진 9단이 차례로 이기면서 신민준 9단과 안정기 6단이 이기는 데 그친 한국물가정보를 3-2로 눌렀다.

▲ 1시간 장고판에 출전한 원성진 9단(왼쪽)이 강동윤 9단을 맞아 158수 만에 불계승, 바둑사에 남을 금자탑을 세웠다. 지난시즌부터 셈하면 18연승.
'전승 신화'에 도전한 서른 여섯의 노장 원성진 9단이 화룡점정했다. 난적 강동윤 9단을 백 불계로 꺾고 정규시즌 14전 전승과 함께 셀트리온의 1위도 결정지었다.
"실감이 안 나고 기분이 묘한 것 같다"는 원성진 9단은 "플레이오프에 못 올라간 지 10년 정도 됐다. 운이 따르지 않은 적도 많았고, 작년에는 최악의 한 해를 보내서 마음이 복잡했는데 올해 전승을 하니 감회가 남다르다. 팀도 이겼다니까 큰 보탬이 된 것 같아 기쁨이 두 배"라는 소감을 전했다.

▲ 이기는 팀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하는 최후 결전에서 최철한 9단(오른쪽)이 바둑메카의정부 주장 김지석 9단을 꺾고 포스코케미칼의 승리를 이끌었다.
바둑리그가 더블리그 체재로 재편된 2006년 이후 정규리그 전승은 이번이 두 번째. 지난 시즌에 신진서 9단이 최초로 16전 전승을 거둔 바 있다.
결정되지 않은 두 장의 포스트시즌행 티켓을 놓고 7승6패의 세 팀이 벌인 벼랑 승부에서는 포스코케미칼이 바둑메카의정부를 4-1로 꺾고 3위가 됐다. 수려한합천은 탈락이 확정된 정관장천녹을 4-1로 눌렀다. 최종 순위는 셀트리온, 한국물가정보, 포스코케미칼, 수려한합천, 바둑메카의정부, 정관장천녹, 컴투스타이젬, 킥스 순.
.jpg)
▲ 박정환 9단(오른쪽)은 백홍석 9단을 꺾고 2년차 수려한합천을 포스트시즌에 올려놓았다.
4위까지 오르는 포스트시즌은 3월 17일부터 준플레이오프(2번기)→플레이오프(3번기)→챔피언결정전(3번기) 단계로 2004년 출범 이래 17번째 시즌의 우승팀을 가린다. 3위 포스코케미칼과 4위 수려한합천이 벌이는 준플레이오프는 3위팀은 어드밴티지를 받아 한 경기 승리 또는 무승부시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수 있다.
한편 개인 부문에선 원성진 9단 뒤로 12승2패의 신진서 9단, 11승3패의 변상일 9단 순으로 다승 상위권을 형성했다. 2020~2021 KB리그의 팀 상금은 우승 2억원, 준우승 1억원, 3위 6000만원, 4위 3000만원. 매판 승부에 따라 차등지급했던 대국료는 포스트시즌에는 없다.
.jpg)
▲ 1국: 2시간 장고. 2국: 1시간 장고, 3~5국: 10분 속기.
.jpg)
▲ 정규리그 최종 순위.

▲ 통합라운드는 속기.장고의 구분 없이 4경기 20판의 대국이 동시에 치러졌다.

▲ 랭킹 1위 신진서 9단의 최종 성적은 12승2패. 박정환 9단과 백홍석 9단에게 패했다.

▲ LG배 챔프 신민준 9단은 마지막에 강승민 7단을 이기며 9승5패.

▲ 신인상 수상을 사실상 확정지은 백현우 2단은 최정 9단을 꺾으며 7승5패로 마감.
.jpg)
▲ 지난해 3위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던 셀트리온은 이번엔 1위로 챔피언결정전에 직행했다. 오른쪽이 백대현 감독.
.jpg)
▲ '포스트시즌에서 봅시다'. 2위에 머문 한국물가정보 한종진 감독(오른쪽). 왼쪽은 퓨처스 선수 송규상 5단.

▲ "나, 고감독 겁주러 왔어." 최종 라운드에서 맞대결한 수려한합천 고근태 감독(왼쪽)과 정관장천녹 최명훈 감독이 화기애애한(?) 모습으로 자리를 함께 했다.
.jpg)
▲ 역대 최연소 감독으로 데뷔 시즌을 보낸 안형준 감독(왼쪽)과 후반기 대반전극으로 포스코케미칼을 3위에 올려놓은 이상훈 감독.

▲ 두 시즌 연속 홍일점 리거로 뛴 최정 9단은 지난해 8승7패, 올해는 6승8패.

▲ 가장 늦게 끝난 오유진 7단-한상훈 9단 전은 한상훈 9단의 승.
.jpg)
▲ 같은 팀에서 1부리거와 2부리거로 뛰어 화제를 모은 부부기사 이영구 9단과 오정아 4단이 한데 어울려 검토하고 있다.
.jpg)
▲ "예전엔 실수를 하면 두면서도 많이 후회를 했는데 요즘에는 끝까지 최선을 다하자, 내 수에 믿음을 갖는 점이 다른 것 같다."는 원성진 9단이다.
.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