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원

바둑뉴스

보도자료

박정환-김지석-강동윤-최기훈, 태극마크 획득

등록일 2013.08.012,978

▲박정환-김지석-강동윤 9단과 최기훈 4단이 농심신라면배 태극마크 획득에 성공했다
▲박정환-김지석-강동윤 9단과 최기훈 4단이 농심신라면배 태극마크 획득에 성공했다

한국팀의 통산 열두 번째 우승에 도전할 농심신라면배 태극전사 4명이 확정됐다.


8월 1일 한국기원 4층 본선대국실에서 벌어진 제15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국내 선발전 결승에서 박정환-김지석-강동윤 9단과 최기훈 4단이 태극마크 획득에 성공했다.


‘박박대결’로 관심을 모은 B조에서 랭킹 1위 박정환 9단이 박영훈 9단에게 212수 만에 백 불계승을 거두며 통산 두 번째 농심배 본선행을 결정지었다. 박9단은 지난해 와일드카드를 받아 처음 출전해 중국의 셰허(謝赫) 9단과 장웨이제(江維杰) 9단을 연파하며 새로운 영웅 탄생을 알린 바 있다.


C조에서는 랭킹 2위 김지석 9단이 이영구 9단에게 226수 만에 흑 1집반승을 거두며 3년 연속이자 통산 네 번째 농심호 승선에 성공했다. 이 대회에서 통산 7승 3패를 기록 중인 김9단은 11회 대회에서 3연승, 13회 대회에서 4연승을 거두는 등 농심배에서 강한 면모를 보여왔다.


D조에서는 랭킹 6위 강동윤 9단이 4위 최철한 9단에게 204수 만에 백 불계승하며 통산 세 번째 본선 진출을 결정지었다. 이 대회 본선에서 5승 2패의 성적을 올린 강9단은 2008년 제10회 대회에서 5연승을 거두며 대회 최다연승 타이 기록을 세웠었다.


이세돌 9단과 이창호 9단 등 강자들이 초반 탈락하며 주목을 받았던 A조에서는 랭킹 61위 최기훈 4단이 31위 이원영 4단에게 324수 만에 백 반집승하며 농심배 첫 본선 진출의 기쁨을 맛봤다. 반면 예선2회전에서 이세돌 9단을 불계로 꺾는 파란을 일으켰던 이원영 4단은 마지막 고비를 넘기지 못하고 본선행에 실패하고 말았다.


한국 대표선수 4명이 확정된 가운데 나머지 1명은 후원사인 농심에서 와일드카드로 지목할 예정이다.


와일드카드 후보로는 랭킹이 높은 이세돌 9단, 최철한 9단과 ‘농심배 영웅’ 이창호 9단 등이 거론되고 있다.


랭킹 3위 이세돌 9단은 10회와 12회 대회에 두 번 출전해 4승 1패를, 최철한 9단은 여섯 번 출전해 13승 5패, 이창호 9단은 열세 차례 농심배 본선에 대표로 나서 통산 19승 3패를 기록 중이다. 이세돌 9단은 10회 대회에서, 최철한 9단은 12회 대회에서 각각 한국 우승을 결정지은 바 있고 이창호 9단은 1회부터 6회 대회까지 6연속 최종전을 장식하는 등 8번의 우승을 본인 손으로 결정한 바 있다.


한국과 중국, 일본의 국가대표 5명이 출전해 연승전 방식으로 대결하는 농심신라면배는 1회 대회부터 6회 대회까지 한국이 6연패했으며, 7∼9회 대회에서는 일본, 한국, 중국이 한차례씩 우승을 나눠가졌고 10∼12회 대회는 한국이 3연패를, 13회 대회에서는 중국이 우승했다. 지난 대회에서는 박정환 9단이 한국의 마지막 주자로 나서 한국팀에 열한 번째 우승컵을 선사한 바 있다.


한편 이번 대회부터는 지난해와 달리 국적별 참가가 아닌 기원 소속별 대국으로 출전 자격을 변경했다.


농심신라면배는 99년 제1회부터 2004년 6회까지는 기원 소속별 기사로 참가했지만 2005년 7회 대회부터 국적별 참가를 원칙으로 수정했었다. 이번에 다시 기원 소속별로 변경한 이유는 최근 부진한 성적을 내고 있는 일본기원이 강력하게 요청해왔고 후원사인 농심이 수락해 다시 바뀌게 됐다.


일간스포츠가 주최하고 (재)한국기원이 주관하며 (주)농심에서 후원하는 농심신라면배의 총규모는 10억원, 우승상금은 2억원이며, 본선에서 3연승하면 1,000만원의 연승상금(3연승 후 1승 추가 때마다 1,000만원 추가 지급)이 지급된다. 제한시간은 각자 1시간에 초읽기 1분 1회가 주어진다.



제15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일정


본선 1차전 (중국 베이징)

10월 21일(월) - 전야제

10월 22일(화) - 1국

10월 23일(수) - 2국

10월 24일(목) - 3국

10월 25일(금) - 4국


본선 2차전 (한국 부산)

12월 2일(월) - 5국

12월 3일(화) - 6국

12월 4일(수) - 7국

12월 5일(목) - 8국

12월 6일(금) - 9국

12월 7일(토) - 10국


본선 3차전 (중국 상하이)

2월 25일(화) - 11국

2월 26일(수) - 12국

2월 27일(목) - 13국

2월 28일(금) - 14국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