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 전국체전 시범종목 승인
.jpg)
바둑의 스포츠화가 또 하나의 봉우리를 넘었다.
4월 1일 오전 서울 올림픽공원 내 올림픽파크텔 3층 회의실에서 열린 대한체육회(회장 김정행) 제9차 이사회에서 바둑이 제95회 전국체육대회(전국체전)의 시범종목으로 결정됐다. 바둑은 지난 2003년 전북 부안에서 열린 제84회 전국체전에서 전시종목(이후 동호인종목으로 명칭 변경)으로 참가한 바 있다.
전시종목으로 시행되면 몇 년 후 시범종목으로 전환하는 것이 통례였지만, 바둑의 경우 산하 시도협회의 지역체육회 가입 등의 절차 문제와 신규 종목에 대한 체육계의 엄격해진 기준 적용 등으로 지연되다 11년 만에야 승격이 이뤄졌다.
시범종목이 되면 전국체전 종목 개최와 참가, 훈련 등에 대한 제반 업무를 해당 지자체 및 주최측 위원회(대회조직위원회·집행위원회)와 대한바둑협회가 공동으로 진행하게 된다. 동호인종목 시절에는 이러한 준비와 경비 조달 등을 바둑계가 자체적으로 담당해왔다.
또한 전국의 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 각 지역 교육청에 정식 바둑팀 창설을 요청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된다. 대학에 바둑팀이 창설되면 다른 체육종목처럼 바둑 종목에서도 체육특기자로 진학할 수 있는 문호가 확대돼 엘리트체육으로서의 기반을 구축할 수 있는 전기가 마련될 전망이다.
무엇보다도 가장 큰 차이는 전국제천 정식종목화가 가시권에 들어온다는 점이다.
2010년 제16회 아시아경기대회에서 바둑에 걸린 3개의 금메달을 석권했지만 올해 인천아시안게임에 진입하지 못해 체육계에서의 위상이 저하될 뻔했는데 이번의 승격으로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한 셈이다.
대한바둑협회 김원 전무이사는 “시범종목 채택은 협회를 비롯, 온 바둑계가 오랫동안 추진해온 숙원 과제”였다며 “새로운 시작으로 여기고 이를 발판으로 소년체전 종목화, 전국체전 정식종목 승격 등 보다 높은 목표를 달성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바둑이 시범종목으로 치러지는 제95회 전국체전은 오는 10월 28일(화)부터 11월 3일(월)까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바둑의 스포츠화 일지>
●2002년 01월 25일 대한체육회 정기이사회에서 (재)한국기원 인정단체 승인
●2003년 10월 12일 인정단체 최초로 제84회 전국체전 전시종목(부안) 참가
●2005년 11월 24일 대한바둑협회 창립총회(회장 조건호)
●2006년 04월 12일 대한체육회 인정가맹단체로 (재)한국기원에서 대한바둑협회(회장 조건호)로 변경
●2006년 05월 16일 대한체육회 이사회에서 대한바둑협회(회장 조건호) 준가맹 경기단체로 승인
●2006년 12월 18일 대한바둑협회의 법인화로 인한 준가맹단체 명칭 변경
●2007년 05월 28일 아시안게임평의회에서 바둑을 2010년 중국 광저우 아시안게임 정식종목으로 채택
●2009년 02월 04일 대한체육회 제25차 이사회 정가맹경기단체 승인
●2009년 02월19일 : 대한체육회 대의원총회에서 55번째 정가맹 경기단체로 승인
●2010년 11월20~27일 : 제16회 광저우아시안게임 바둑종목 전종목 석권(금메달 3개)
●2011년 07월 13일 :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에서 2013년 인천 실내무도
아시안게임 종목으로 바둑 채택
●2013년 01월 22일 : 제3대 허동수 회장 취임
●2014년 02월 13일 : 제4대 홍석현 회장 취임
●2014년 04월 01일 : 바둑, 전국체전 시범종목 승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