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총사는 강했다, 서귀포 칠십리 마수걸이 승
서귀포 칠십리가 개막전의 부진을 딛고 시즌 첫 승 달성에 성공했다.
27일 서울 마장로 한국기원 1층 바둑TV 스튜디오에서 열린 여자바둑리그 2라운드 마지막 대국에서 서귀포 칠십리는 장고대국에 출전한 1주전 오정아 2단의 승리를 필두로 2주전 김미리 3단, 3주전 문도원 3단이 나란히 승리를 거둬 여수 거북선에 3-0 완승을 거뒀다.
여자바둑리그는 흔히 첫 승이 중요하다고 한다. 개인도 마찬가지고 팀도 그렇다. 첫 승이 빨리 나오면 부담 없이 대국에 임해 자신의 실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지만 연패가 계속되면 자신감을 잃어 성적이 더 나빠진다. 특히 여자 기사들이 이런 경향이 강해 자칫 초반을 그르치면 연패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27일에 열린 2라운드 마지막 대국은 반대였다. 개막전 승리를 거둔 여수 거북선은 어찌된 일인지 승점을 기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두르다 자멸하고 말았다. 반면 개막전에서 서울 부광탁스에 0-3 완패를 당했던 서귀포 칠십리는 출전선수 전원이 침착한 반면운영을 선보이며 여수 거북선에 3-0 스트레이트 승리를 따냈다.
제1국 오정아 3단의 장고바둑과 2국 문도원 3단의 속기 모두 초반에 승패가 정해졌다. 오정아 3단을 상대한 여수 거북선의 1주전 이슬아 4단은 초반 판을 유리하게 짜놨음에도 불구하고 상변에서 어이없는 축 착각을 범하며 무너지고 말았다. 곤마여서 공격의 대상이었던 백 일단이 흑 두점을 잡으며 떵떵거리고 살아서는 균형이 무너졌다. 낙심한 이슬아는 이후 중앙을 최대한 키우며 백의 실리에 대항해봤지만 역부족이었다.
이민진 vs 문도원의 2국도 비슷한 흐름. 초반 우변에서 백을 든 이민진 7단이 난조를 보이더니 일방적으로 쫓기는 흐름이 됐다. 결국 99수만에 우상 백 일단이 잡히면서 일찌감치 승부가 갈렸다.
이미 2-0으로 승부를 결정지은 서귀포 칠십리였지만 3국도 늦추지 않았다. 서귀포 칠십리 김미리 3단은 여수 거북선의 신예 김다영 초단을 상대로 초반부터 실리를 챙기며 앞서나갔다. 김다영은 하변 흑모양으로 대항했지만 끝내 실리부족을 극복하지 못하고 214수만에 돌을 거두고 말았다.
이로써 1라운드에서 0-3 완패를 당했던 서귀포 칠십리는 곧바로 열린 2라운드에서 3-0 완승을 거두고 승률 5할을 회복했다. 반면 개막전을 기분 좋은 승리로 장식했던 여수 거북선은 2라운드에서는 단 한판도 건지지 못하며 6위로 내려앉고 말았다(같은 1승 1패 동률이지만 개인 승수에서 뒤진다).
2라운드를 모두 마친 2016 여자바둑리그는 서울 부광탁스와 포항 포스코켐텍이 2승으로 선두권을 형성하고 있는 가운데 서귀포 칠십리, 인제 하늘내린, 부안 곰소소금, 여수 거북선이 1승 1패로 치열한 중위권 다툼을 예고하고 있다.
여자바둑리그는 3월 3일(목)부터 부안 곰소소금 vs 인제 하늘내린의 3라운드 대결로 이어질 예정이다.
2016 엠디엠 한국여자바둑리그’의 정규리그는 총 56경기, 168국을 통해 포스트시즌에 진출할 상위 4개 팀을 가려낸다. 정규리그는 3판 다승제[장고(각 1시간, 40초 초읽기 5회) 1국 +속기(각 10분, 40초 초읽기 5회) 2국]의 8개팀 더블리그(14라운드)로 매주 목∼일(제1~2국 오후 6시 30분, 제3국 오후 8시 30분) 열리며 일부 경기는 통합 라운드로 진행된다.
한국여자바둑리그의 대회 총 규모는 7억 8,000만원이며 우승상금은 5,000만원, 준우승상금은 3,000만원이다. 우승상금과 별도로 승자 100만원, 패자 30만원의 대국료가 별도로 지급된다.
27일 서울 마장로 한국기원 1층 바둑TV 스튜디오에서 열린 여자바둑리그 2라운드 마지막 대국에서 서귀포 칠십리는 장고대국에 출전한 1주전 오정아 2단의 승리를 필두로 2주전 김미리 3단, 3주전 문도원 3단이 나란히 승리를 거둬 여수 거북선에 3-0 완승을 거뒀다.
여자바둑리그는 흔히 첫 승이 중요하다고 한다. 개인도 마찬가지고 팀도 그렇다. 첫 승이 빨리 나오면 부담 없이 대국에 임해 자신의 실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지만 연패가 계속되면 자신감을 잃어 성적이 더 나빠진다. 특히 여자 기사들이 이런 경향이 강해 자칫 초반을 그르치면 연패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27일에 열린 2라운드 마지막 대국은 반대였다. 개막전 승리를 거둔 여수 거북선은 어찌된 일인지 승점을 기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두르다 자멸하고 말았다. 반면 개막전에서 서울 부광탁스에 0-3 완패를 당했던 서귀포 칠십리는 출전선수 전원이 침착한 반면운영을 선보이며 여수 거북선에 3-0 스트레이트 승리를 따냈다.
제1국 오정아 3단의 장고바둑과 2국 문도원 3단의 속기 모두 초반에 승패가 정해졌다. 오정아 3단을 상대한 여수 거북선의 1주전 이슬아 4단은 초반 판을 유리하게 짜놨음에도 불구하고 상변에서 어이없는 축 착각을 범하며 무너지고 말았다. 곤마여서 공격의 대상이었던 백 일단이 흑 두점을 잡으며 떵떵거리고 살아서는 균형이 무너졌다. 낙심한 이슬아는 이후 중앙을 최대한 키우며 백의 실리에 대항해봤지만 역부족이었다.
이민진 vs 문도원의 2국도 비슷한 흐름. 초반 우변에서 백을 든 이민진 7단이 난조를 보이더니 일방적으로 쫓기는 흐름이 됐다. 결국 99수만에 우상 백 일단이 잡히면서 일찌감치 승부가 갈렸다.
이미 2-0으로 승부를 결정지은 서귀포 칠십리였지만 3국도 늦추지 않았다. 서귀포 칠십리 김미리 3단은 여수 거북선의 신예 김다영 초단을 상대로 초반부터 실리를 챙기며 앞서나갔다. 김다영은 하변 흑모양으로 대항했지만 끝내 실리부족을 극복하지 못하고 214수만에 돌을 거두고 말았다.
이로써 1라운드에서 0-3 완패를 당했던 서귀포 칠십리는 곧바로 열린 2라운드에서 3-0 완승을 거두고 승률 5할을 회복했다. 반면 개막전을 기분 좋은 승리로 장식했던 여수 거북선은 2라운드에서는 단 한판도 건지지 못하며 6위로 내려앉고 말았다(같은 1승 1패 동률이지만 개인 승수에서 뒤진다).
2라운드를 모두 마친 2016 여자바둑리그는 서울 부광탁스와 포항 포스코켐텍이 2승으로 선두권을 형성하고 있는 가운데 서귀포 칠십리, 인제 하늘내린, 부안 곰소소금, 여수 거북선이 1승 1패로 치열한 중위권 다툼을 예고하고 있다.
여자바둑리그는 3월 3일(목)부터 부안 곰소소금 vs 인제 하늘내린의 3라운드 대결로 이어질 예정이다.
2016 엠디엠 한국여자바둑리그’의 정규리그는 총 56경기, 168국을 통해 포스트시즌에 진출할 상위 4개 팀을 가려낸다. 정규리그는 3판 다승제[장고(각 1시간, 40초 초읽기 5회) 1국 +속기(각 10분, 40초 초읽기 5회) 2국]의 8개팀 더블리그(14라운드)로 매주 목∼일(제1~2국 오후 6시 30분, 제3국 오후 8시 30분) 열리며 일부 경기는 통합 라운드로 진행된다.
한국여자바둑리그의 대회 총 규모는 7억 8,000만원이며 우승상금은 5,000만원, 준우승상금은 3,000만원이다. 우승상금과 별도로 승자 100만원, 패자 30만원의 대국료가 별도로 지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