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천싱, 포항 포스코켐텍의 특급 소방수!
포항 포스코켐텍의 용병 왕천싱 5단이 상대팀의 제1주전 선수를 꺾고 팀의 개막전 승리를 책임졌다.
19일 서울 성동구 마장로 바둑TV스튜디오에서 열린 2016 엠디엠 한국여자바둑리그 1라운드 2경기에서 포항 포스코켐텍이 부안 곰소소금 팀을 상대로 2-1 짜릿한 역전승을 거두고 개막전을 승리로 장식했다.
출발은 부안이 좋았다. 부안의 3주전 이유진 초단이 조혜연 9단에게 승리를 거두고 먼저 앞서나갔다. 이유진은 초반 출발이 좋지 않았지만 조혜연 9단이 방심한 틈을 타 차근차근 추격전을 전개, 값진 승리를 따냈다.
그러나 부안의 행운은 거기까지였다. 상대팀 1주전 김채영을 상대한 김혜림은 치열한 실리 전쟁 끝에 골인 바로 전까지 앞서나갔지만 막판 김채영의 스퍼트에 덜미를 잡히고 말았다. 최종 결과는 김채영의 1집반 승리.

이겼으면 2-0으로 승리할 수 있었던 찬스를 놓친 부안은 곧바로 위기를 맞았다. 왕천싱을 상대한 제1주전 김혜민이 중반 이른 시기부터 끌려 다니며 비세에 놓인 것. 왕천싱이 그대로 골인에 성공하는가 싶었지만, 왕천싱도 마지막 초읽기의 무서움을 피해가지 못했다.
중앙에서 우물쭈물 하는 사이 김혜민 하변 백 진영을 초토화시키는 강수를 들고 나왔고 거기서 바둑은 다시 미궁으로 빠져들었다.
그러나 승리의 여신은 왕천싱에게 마지막 미소를 건넸다. 중앙 흑 대마 사활을 둘러싼 치열한 수읽기 싸움 와중에 우상귀 백이 들여다본 수가 승착. 결국 우상이 백의 수중에 넘어가서는 승부도 결정되고 말았다.
한편 왕천싱은 지난해에도 부안 곰소소금과의 대결에서 승리한 바 있어 부안에 강한 면모를 이어갔다. 당시에도 왕천싱은 1-1로 팽팽히 맞선 상태에서 맞은 3국에서 김혜민을 물리치고 팀 승리를 결정지은 바 있다.

바둑TV 해설의 목진석 9단은 “마지막에 어려운 장면도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두터움을 바탕으로 상대를 압박해나가는 모습이 돋보인 왕천싱 5단의 완승국”이라고 평했다.
여수 거북선과 포항 포스코켐텍이 승리한 가운데 20일에는 서귀포 칠십리 vs 서울 부광탁스의 1라운드 3경기가 속개된다.
대진은 문도원-최정, 오정아-김신영, 김미리-위즈잉(앞쪽이 서귀포). 최정과 위즈잉을 앞세운 서울 부광탁스의 우세가 점쳐지지만 예상은 예상일뿐 큰 의미는 없다. 서울 부광탁스는 작년에도 같은 멤버로 팀을 꾸렸지만 최하위에 머문 바 있어 올해는 과연 어떤 성적을 거둘지 주목된다.

2016 엠디엠 한국여자바둑리그’의 정규리그는 총 56경기, 168국을 통해 포스트시즌에 진출할 상위 4개팀을 가려낸다. 정규리그는 3판 다승제[장고(각 1시간, 40초 초읽기 5회) 1국 +속기(각 10분, 40초 초읽기 5회) 2국]의 8개팀 더블리그(14라운드)로 매주 목∼일(제1~2국 오후 6시 30분, 제3국 오후 8시 30분) 열리며 일부 경기는 통합 라운드로 진행된다.
한국여자바둑리그의 대회 총 규모는 7억 8,000만원이며 우승상금은 5,000만원, 준우승상금은 3,000만원이다. 우승상금과 별도로 승자 100만원, 패자 30만원의 대국료가 별도로 지급된다.










19일 서울 성동구 마장로 바둑TV스튜디오에서 열린 2016 엠디엠 한국여자바둑리그 1라운드 2경기에서 포항 포스코켐텍이 부안 곰소소금 팀을 상대로 2-1 짜릿한 역전승을 거두고 개막전을 승리로 장식했다.
출발은 부안이 좋았다. 부안의 3주전 이유진 초단이 조혜연 9단에게 승리를 거두고 먼저 앞서나갔다. 이유진은 초반 출발이 좋지 않았지만 조혜연 9단이 방심한 틈을 타 차근차근 추격전을 전개, 값진 승리를 따냈다.
그러나 부안의 행운은 거기까지였다. 상대팀 1주전 김채영을 상대한 김혜림은 치열한 실리 전쟁 끝에 골인 바로 전까지 앞서나갔지만 막판 김채영의 스퍼트에 덜미를 잡히고 말았다. 최종 결과는 김채영의 1집반 승리.

▲ 김채영은 1주전 선수로서의 책임을 다했다. 김혜림을 상대로 종반까지 어려운 바둑을 펼쳤지만 마지막 끝내기에서 역전에 성공했다. 이로써 김채영-김다영 자매는 1라운드 첫 두 경기에서 모두 승리를 거두며 팀 승리에 공헌했다.
이겼으면 2-0으로 승리할 수 있었던 찬스를 놓친 부안은 곧바로 위기를 맞았다. 왕천싱을 상대한 제1주전 김혜민이 중반 이른 시기부터 끌려 다니며 비세에 놓인 것. 왕천싱이 그대로 골인에 성공하는가 싶었지만, 왕천싱도 마지막 초읽기의 무서움을 피해가지 못했다.
중앙에서 우물쭈물 하는 사이 김혜민 하변 백 진영을 초토화시키는 강수를 들고 나왔고 거기서 바둑은 다시 미궁으로 빠져들었다.
그러나 승리의 여신은 왕천싱에게 마지막 미소를 건넸다. 중앙 흑 대마 사활을 둘러싼 치열한 수읽기 싸움 와중에 우상귀 백이 들여다본 수가 승착. 결국 우상이 백의 수중에 넘어가서는 승부도 결정되고 말았다.
한편 왕천싱은 지난해에도 부안 곰소소금과의 대결에서 승리한 바 있어 부안에 강한 면모를 이어갔다. 당시에도 왕천싱은 1-1로 팽팽히 맞선 상태에서 맞은 3국에서 김혜민을 물리치고 팀 승리를 결정지은 바 있다.

▲ 팀은 패배했지만 이유진의 승리는 부안 곰소소금 팀에 다음 경기를 기대할 수 있는 자산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유진은 관록의 조혜연을 상대로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따라가 뒤집는 저력을 보여줬다.
바둑TV 해설의 목진석 9단은 “마지막에 어려운 장면도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두터움을 바탕으로 상대를 압박해나가는 모습이 돋보인 왕천싱 5단의 완승국”이라고 평했다.
여수 거북선과 포항 포스코켐텍이 승리한 가운데 20일에는 서귀포 칠십리 vs 서울 부광탁스의 1라운드 3경기가 속개된다.
대진은 문도원-최정, 오정아-김신영, 김미리-위즈잉(앞쪽이 서귀포). 최정과 위즈잉을 앞세운 서울 부광탁스의 우세가 점쳐지지만 예상은 예상일뿐 큰 의미는 없다. 서울 부광탁스는 작년에도 같은 멤버로 팀을 꾸렸지만 최하위에 머문 바 있어 올해는 과연 어떤 성적을 거둘지 주목된다.

2016 엠디엠 한국여자바둑리그’의 정규리그는 총 56경기, 168국을 통해 포스트시즌에 진출할 상위 4개팀을 가려낸다. 정규리그는 3판 다승제[장고(각 1시간, 40초 초읽기 5회) 1국 +속기(각 10분, 40초 초읽기 5회) 2국]의 8개팀 더블리그(14라운드)로 매주 목∼일(제1~2국 오후 6시 30분, 제3국 오후 8시 30분) 열리며 일부 경기는 통합 라운드로 진행된다.
한국여자바둑리그의 대회 총 규모는 7억 8,000만원이며 우승상금은 5,000만원, 준우승상금은 3,000만원이다. 우승상금과 별도로 승자 100만원, 패자 30만원의 대국료가 별도로 지급된다.

▲ 왕천싱의 별명은 이름 끝 한 글자를 따 ‘싱싱이’라고. 한국 여자 기사들이 붙여준 별명인데 중국 언론에서도 재미있는지 그대로 따라한다고. 때문에 중국 바둑 잡지에서는 왕천싱의 수법을 가리켜 ‘싱싱류’라 소개한다는 목진석 9단의 해설이 있었다.

▲ 어제 동생 김다영의 대국에 따라와 대국 전 “정신 똑바로 차리고 둬”라고 훈수했던 김채영. 오늘은 개막전에서 승리하며 언니의 체면을 세웠다.

▲ 팀 패배로 빛이 바랬지만 의미있는 승리를 거둔 이유진 초단.

▲ 조혜연 9단. 삼페인을 너무 빨리 터뜨린 것이 독이 됐다.

▲ 곧 결혼을 앞두고 있는 김혜림 2단. 결혼식 날도 여자바둑리그 대국이 잡혀있어 걱정이 크지만 씩씩하게 대국에 임하고 있다. 강적 김채영을 상대로 시종 유리하게 판을 짜나갔지만 마지막 고비를 넘지 못했다.

▲ 2년 연속 왕천싱에게 패해 제1주전의 의무를 다하지 못한 김혜민. 두 번째 경기에서의 선전이 기대된다.

▲ 포항 포스코켐텍의 이영신 감독. 팀 승리 탓인지 표정이 밝다.

▲ 지난해 기사회장에서 올해는 부안 곰소소금 팀을 맡은 김효정 감독.

▲ 오후 6시 30분. 제1경기가 시작된 직후의 부안 곰소소금 팀 검토진, 김효정 감독과 김혜민 7단이 검토를 주도했다.

▲ 포항 포스코켐텍의 검토진. 김성래 5단은 어제 둘째딸 김다영 초단 응원에 이어 오늘은 포항의 검토진을 찾아 언니 김채영을 응원했다. 아빠의 응원 탓인지 자매는 나란히 승리를 거두며 팀 승리를 이끌었다.